반응형 식물보호기사12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3) 1.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않는 잡초는- 물달개비 2.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잡초의 종자생산량 3.잡초의 종합방제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생태적,물리적,화학적 방제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는 것 4.10a당 500ml 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약량 125mL 물량 25L 5.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것은-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 6.다음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생이가래 7.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8.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 2022. 9. 15.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2) 1.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토양침식 유발 2.벼농사에서 잡초의 피해가 가장 많은 재배 양식-건답직파재배 3.잡초의 특성에 대한 서령으로 옳지 않은것-종자로만 번식 4.다음 중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으로만 나열된것-피 너도방동사니 5.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것-피복처리 6.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은- WP 7.밭잡초를 나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래 여뀌바늘 8.잡초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균 및 동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생물적 방제 9.작물과 잡초간에 영향을 미치는 타감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것-상호대립억제물질 10.선택성 제초제가 아닌것-글리포세이트 암모늄 액제 11.이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가는.. 2022. 9. 15.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3) 1.제초제의 토양 중에서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제초제의 변화는 환경문제에 큰 영향을 준다. 2.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는- CH3(알킬기) 3.농약 살포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제 4종 복합비료와의 혼용은 약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4.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온도 5.수 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 한 제조 형태가 아닌것-액제 6.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페노뷰카브(BPMC) 7.과실의 수기를 촉진시켜 주는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에테폰 액제 8.피에이엠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유기인제 9.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천적을 살해한다. 10.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 2022. 9. 14.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2) 1.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되는 독성을 무엇이라하는가-흡입독성 2.60kg의 쌀에 살충제 Malation 50% 유제를 5ppm이 되도록 처리 하고자 할 때 필요한 설충제량 mL-0.56 3.계면활성제가 갖고 있는 원자단 중 친유기는- -c2h5 4.농약 살포액 물리적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집중성 5.파라티온은 어느 효소작용을 억제하는가-콜린에스테라제 6.분제 농약 제조시 증량제로 사용되지 않는것-슬래그 7.다음 구조식을 가진 제초제는 어느 계의 속하는가-요소계 제초제 8.우리나라의 농약 독성구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농약의 독성 구분은 원제독성을 기준으로 한다. 9.물을 녹지 않는 농약성분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제제방법은-유제 10.농약의 독성발현시기.. 2022. 9.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