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물보호산업기사문제3

식물보호산업기사-농림해충학(3) 1.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심장 2.가루깍지벌레의 연 발생횟수-1년에 3회 발생 3.곤충의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것-공중에 사는 종류 4.고구마나 당근 등에 주로 발생하는 뿌리 혹선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토양의 pH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한다. 5.뒷날개가 평균기 (Halter)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곤충-쉬파리 6.곤충의 생활사에서 용화란 무엇인가-유충이 번데기가 되는것 7.다음 중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여 방제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밤나무 혹벌 8.다음 해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것-끝동매미충 9.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볏집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10.다음 중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해충은-밤나무 .. 2022. 9. 11.
식물보호 산업기사-농림해충학(2) 1.모기가 벽에앉을 때 언제나 머리쪽이 위로 향하는 성질은-주지성 2.유충이 범의 잎집 속으로 파고들어가 줄기내로 먹어 들어가면서 잎과 줄기가 고사하며 출수 후 줄기에 피해를 받으면 백수현상이 일어난다.-이화명나방이 피해를 유발하는 해충 3.콩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콩줄기 속에 파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4.밤나무혹벌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적인것-내충성품종이용 5.간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월동란에서 부화한 진딧물 6.산란관으로 과수의 가지에 상처를 내고 산란하는 해충-말매미 7.표피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 등을 합성 및 분비해주며 탈피 시에는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을 분비하는 곳은-진피세포 8.곤충의 기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파리목의 유충은 10쌍의 기문이 있.. 2022. 9. 11.
식물보호 산업기사-식물병리학 (2) 1.감자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병원균은 기공 또는 각피 침입한다. 2.답전윤환을 할 경우 담수조건에서 병원균이 파괴되어 병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은?-균핵병 3.녹병균에 의해 발생되는 병은?-소나무 혹병 4.(병든식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 진단에 가장용이한것) 발병 초기에는 병원균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든 조직을 20도 정도에서 습실에 2~3일간 보존하여 병원균을 증식시킨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균류에의한병 5.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병의 주요 매개 수단은?-곤충 6.복숭아 나무 잎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온 수화제 살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 7.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물병의 주요 증상으로만 나열된 것은-시들음,가지마름 8... 2022.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