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물보호기사 개념13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3) 1.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않는 잡초는- 물달개비 2.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잡초의 종자생산량 3.잡초의 종합방제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생태적,물리적,화학적 방제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는 것 4.10a당 500ml 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약량 125mL 물량 25L 5.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것은-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 6.다음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생이가래 7.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8.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 2022. 9. 15.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2) 1.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토양침식 유발 2.벼농사에서 잡초의 피해가 가장 많은 재배 양식-건답직파재배 3.잡초의 특성에 대한 서령으로 옳지 않은것-종자로만 번식 4.다음 중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으로만 나열된것-피 너도방동사니 5.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것-피복처리 6.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은- WP 7.밭잡초를 나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래 여뀌바늘 8.잡초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균 및 동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생물적 방제 9.작물과 잡초간에 영향을 미치는 타감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것-상호대립억제물질 10.선택성 제초제가 아닌것-글리포세이트 암모늄 액제 11.이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가는.. 2022. 9. 15.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1) 1.2년생 광엽잡초에서 줄기 및 윗부분에서 1차 예취를 하고 재생후 아주 낮게 2차 예취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이것은 식물의 어던 특성을 이용한 것인가-정아우세 현상 2.다음 중 논잡초로만 나열된 것-물옥잠 돌피 여뀌바늘 3.다음 중 월년생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속속이풀 4.다음 중 영양 번식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잡종강세 5.잡초에 대한 벼의 경합력을 높이는 재배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이앙재배 6.식물의 백화증상을 유발시키는 약제가 있다 이런 증상이 유도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옳은것-식물색조 중의 하나인 카로티노리드의 생합성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7.다음 중 종자가 암 발아성인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냉이 8.사람이나 동물에 부착되기 쉬운 낚시 바늘 모양의 돌기 또는 바.. 2022. 9. 14.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3) 1.제초제의 토양 중에서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제초제의 변화는 환경문제에 큰 영향을 준다. 2.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는- CH3(알킬기) 3.농약 살포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제 4종 복합비료와의 혼용은 약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4.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온도 5.수 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 한 제조 형태가 아닌것-액제 6.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페노뷰카브(BPMC) 7.과실의 수기를 촉진시켜 주는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에테폰 액제 8.피에이엠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유기인제 9.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천적을 살해한다. 10.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 2022. 9. 1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