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기사 개념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2)

by 농촌지킴이 2022. 9. 15.
반응형

1.잡초로 인해 예상되는 피해 및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토양침식 유발
2.벼농사에서 잡초의 피해가 가장 많은 재배 양식-건답직파재배
3.잡초의 특성에 대한 서령으로 옳지 않은것-종자로만 번식
4.다음 중 일년생 잡초가 아닌 것으로만 나열된것-피 너도방동사니
5.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것-피복처리
6.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를 나타내는 것은- WP
7.밭잡초를 나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래 여뀌바늘
8.잡초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균 및 동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생물적 방제
9.작물과 잡초간에 영향을 미치는 타감작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것-상호대립억제물질
10.선택성 제초제가 아닌것-글리포세이트 암모늄 액제
11.이행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처리한 부위로부터 작용점으로 이행해가는 제초제
12.벼와 피를 구분하고자 할 때 주요한 형태적 차이점-입혀와 엽이의 유무
13.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제초방법1
4.포자로 번식하는 잡초 생이가래
15.화학적 잡초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제초제를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
16.잡초종자 발아에 관계하는 환경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산화탄소
17.비산형 종자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잡초로만 나열된것-민들레 엉겅퀴
18.작물에 기생하는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기생식물의 종자는 기주식물의 종자에 섞여 전파되지 않는다.
19.첫 해에 발아 생육하고 로제트 형태로 월동하며 월동기간에 화아가 분화하였다가 이듬 해 봄에 개화 결실한 후 고사 한다.-월년생 잡초
20.논에서 사초과인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후기 경엽처리 제초제-벤타존 액제
21.주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것은-강피,벗풀
22.페녹시계 제초제가 아닌 것은-벤타존 액제
23.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초제의 제형으로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액제보다 부피가 적다.
24.잡초 종자의 모양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낙하산 역할의 솜털:민들레 망초
25.잡초로 인한 피해 양상이 아닌 것은-토양의 유실 가속화
26.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초관형성이 늦은 작물에서는 제초 요구 기간이 일찍시작된다.
27.작물과 잡초의 경합으로 인하여 작물의 수량 또는 품질의 감소가 크기 때문에 잡초를 반드시 방제하여야 할 시기는-잡초경합한계기간
28.주로 밭에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것-별꽃
29.2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주로 봄과 여름에 발생하여 같은 해 여름과 가을까지 결실하고 고사한다.
30.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만기 이앙의 증가
31.벼 재배양식 중에서 잡초 발생이 가장 많은 것은-건답직파
32.방동사니와 잡초의 형태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잎은 둥글고 크며, 엽맥이 그물처럼 얽혀있다.
33.잡초 종자가 일장에 감응하여 휴면이나 휴면타파를 하는 형태-계절적 휴면형
34.지하경으로 번식 가능한 잡초가 아닌 것은-돌피
35.제초제의 용탈이 가장 심한 토양은-사토
36.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큰 경합을 나타내는 무기원소는-질소
37.잡초 종자가 공간적으로 산포하기 위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 발아에 불리한 환경조건에서의 휴면성
38.제초제의 선택성과 관련이 적은것은-선별 광합성
39.채소밭의 잡초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시설원예의 경우에는 소수의 잡초가 대형화 될 수 있으므로 제초에 특히 힘쓴다.
40.잡초방제법 중에서 물리적 방제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제초제 살포
41.예방적 방제수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경엽처리제 살포
42.제초제의 선택성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식물체 건조 무게 차이
43.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깨풀
44.벼 재배방법 중 잡초 종류와 발생량이 가장 적은것-중묘 기계이앙
45.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작물은 일반적으로 잡초보다 경합에 유리한 생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46.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이다.
47.잡초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외적요건이 발아에 부적당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 자발 휴면이라고 한다.
48.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별꽃,냉이
49.잡초의 생물적 방제법에 이용되는 생물의 구비조건이 아닌것은-번식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한다.
50.제초제에 사용시기에 따른 분류에서 파종전 처리제에 해당하는것은-토양 소독제
51.십자화과 속하며, 월년생 잡초에 해당하는것-속속이풀
52.우리나라 농경지 잡초 발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남방형 잡초가 북방형 잡초보다 많다.
53.작물과 잡초의 경합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산소
54.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종자만 으로 번식
55.주로 벼와 경합하는 논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올방개,생이가래
56.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는-망초
57.잡초종자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를 가져서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것은 - 가막사리
58.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것-자외선
59.잡초종자의 발아 습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발아계절성이란 발생 계절의 일장보다 대기온도에 반응 하여 발아 하는 것이다.
60.화본과 잡초에 속하지 않는 것은-쇠털골
61.잡초 방제를 위한 조치로 가장 효과가 없는 것은-이어짓기
62.주로 지하경에 의하여 번식하는 잡초는-벗풀
63.재배방법에 따른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직파재배는 이앙재배보다 잡초에 대한 경합에 불리하다.
64.제초제의 선택성 발현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잎의 엽록소 함량
65.잡초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것은-토양산성화 방지
66.제초제가 작물에 약해를 유발 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온도
67.주로 논에서 자라는 잡초가 아닌 것은-좀바랭이
68.잡초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가장 심한 경우는-C3 작물 재배지에 발생한 C4 잡초
69.예방적 방제방법에 해당하는 것은-작물 종자 정선
70.겨울작물 밭에서 우정하는 잡초는-뚝새풀
71.주로 잔디밭에 많이 발생하는 잡초는-토끼풀,꽃다지
72.벼의 유효분얼이 끝나고 유수형성기 이전에 살포하는 경엽처리형 제초제는-이사-디 액제
73.제초제의 물리적 소실이 아닌 것은-토양 미생물의 분해
74.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한 주요 이유는-일년생 잡초 방제용 제초제 연용
75.잡초 종자의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이산화탄소
76.잡초의 생육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향부자,별꽃은 토양의 산소 농도가 낮아도 잘 발생한다.
77.생물학적 방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화학적 방제에 비해 살초 작용이 빠르다.
78.잡초 방제의 경제성 분석 방법으로 다양한 잡초 발생밀도에서 농작물의 소득을 분석하는 것은-보상력 분석법
79.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 증진을 위해 가장 적절한 조치는-깨풀에 대한 경합력 증진을 위해 분지수가 많은 콩 품종을 심는다.
80.다년생 잡초에해당하는것-가래
81.식물이 분비하거나 생체 혹은 수확후 잔여물 및 종자 등에서 독성물질이 분비되어 다른 식물 종의 생장을 저해하는 현상-Allelopathy
82. 2.5%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제초제를 논 1ha당 30kg을 살포하였다. 물의 깊이가 5cm일 때 처리된 제초제의 농도를 ppm으로 환산하면-1.5

83.잔디밭의 클로버 방제에 가장 적절한 제초제는 메코프로프 액제
84.주어진 지표면을 먼저 점유한 식물이 후에 발생한 식물보다 경합에 유리하다. 이를 이용한 잡초 방제 기술로 옳지 않은-시비량 증대
85.잡초의 생리 및 생태적 특성이 아닌것은-주로 영양 번식은 1년생 잡초가 한다.
86.벼의 유효분얼이 끝날 때부터 유수형성기 이전까지 살포하는 제초제는-이사-디 액제
87.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작용기작-ALS효소 저해
88.겨울작물 밀 유채 등 포장에서 발생이 많은 잡초는 벼룩나물
89.다년생 잡초가 아닌것-피
90.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수량이 점차 감소되지만 어느 수준 밀도 이하에서는 잡초가 존재하더라도 작물의 수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잡초 밀도는-잡초허용 한계밀도
91.밭에 주로 발생하는 잡초는-명아주
92.잡초종자는 일반적으로 휴면성을 가지고 있다.휴면의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생장촉진제 처리
93.페녹시계에 속하는 제초제가 아닌 것은-니코설퓨론 액상 수화제
94.물옥잠과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물달개비
95.방제법의 종류와 그 예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재배적 방제법:작물 파종 전 경운을 실시한다.
96.비늘줄기인 인경으로 번식하는 광엽잡초는-가래
97.농경지에 발생하는 잡초군락의 구성 변화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제초제 사용
98.잡초의 영양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부분의 다년생 잡초는 사질토 보다는 중점토에서 지하 영양기관의 생성이 빠르다.
99.보리밭에서 발생하는 다년생 광엽잡초에 대해 선택적으로 효과가 있는 약제-벤타존 액제
100.잡초로 인한 농경지의 피해가 아닌 것은-토양침식의 가속화





출처: https://www.comcb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