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물병리학2

식물보호산업기사-식물병리학(3) 1.식물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은?-감수성 2.대추나무 빗자루병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방제 방법은-항생제 나무주사 3.붕소의 결핍으로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은-축과병 4.전염성이 없고 생물로 인한 식물병이 아닌 것은-토마토배꼽썩음병 5.습식처리법을 주로 사용하며 식물병을 진단하는 병원-곰팡이 6.토마토 풋마름병의 병징-시들음 7.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이 거의 불가능한 병원은-바이러스 8.사과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성숙한 과실은 상처를 통해서만 감염된다. 9.복숭아나무 잎 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논 수화제 살포방법으로 가장 적합한것-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 10.벼 도열병 발생을 억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원소-규소 11.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질소질 성분이 부.. 2022. 8. 22.
식물보호 산업기사- 식물병리학 정리(1) 1.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해충-진딧물 2.곰팡이에 의해서 발생한 병의 표징이 아닌것-뿌리털 3.접목을 통해 방제가 가능한 병은- 참외 덩굴 쪼김병 4.병원체나 매개 곤충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막아 감염을 차단하는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토양산도의 조절 5.잣나무 털녹병균의 분류학적 위치는?-담자균류 6.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다양한 레이스가 존재 7.식물 바이러스병 진단법으로 옳지 않은것-파지에 의한 진단법 8.살아있는 식물 조직에서만 생활할 수 있는 병원체-절대기생체 9.벼 도열병이 발생한 경우 벼 잎에 나타나는 병징의 형태-방추형 10. 사과 수심 현상의 원인-고온의 피해 11. 토마토의 세균병으로 시들시들하다가 갑자기 마르는 병-풋마름병 12.세균에 의한 식물병-벼 흰잎마름병 1.. 2022.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