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식물이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은?-감수성
2.대추나무 빗자루병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방제 방법은-항생제 나무주사
3.붕소의 결핍으로 사과나무에 발생하는 병은-축과병
4.전염성이 없고 생물로 인한 식물병이 아닌 것은-토마토배꼽썩음병
5.습식처리법을 주로 사용하며 식물병을 진단하는 병원-곰팡이
6.토마토 풋마름병의 병징-시들음
7.광학 현미경으로는 관찰이 거의 불가능한 병원은-바이러스
8.사과나무 탄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성숙한 과실은 상처를 통해서만 감염된다.
9.복숭아나무 잎 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논 수화제 살포방법으로 가장 적합한것-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
10.벼 도열병 발생을 억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원소-규소
11.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질소질 성분이 부족할 경우에 잘 발생한다.
12.병원균이 자냥균류에 해당하는것-복숭아 나무 잎오갈병
13.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14.녹병의 표징으로 옳은것-잎표면의 적갈색 가루
15.채소에 모자이크병을 발생하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으로 비영속형은-진딧물
16.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허용되는 균-Agrobacterium radiobacter.
17.식물병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과 가장거리가 먼 것은-중간기주의 저항성
18. 사과에 발생되는 병으로 주로 죽은 조직을 통해 감염되고 병든 부위의 껍질을 벗겨 보면 알콜과 같은 냄새가 나는 병은-부란병
19.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써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분생포자
20. 종자전염을 하는 식물병은-벼 도열병
21.해외에서 수입하는 식물이나 농산물의 검사를 통하여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 예방법은 무엇이라고 부르는가-식물검역
22.오이 노균병균이 형성하는 포자의 종류로 가장 옳은것-유주자
23.진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난균류
24.종합적 식물병해 방제 프로그램의 주된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것-병원균을 완전히 제거하는것
25.다음중 비 전염성 병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병원성 바이로이드
26.오이 모자이크병 방제방법에대해 가장 옳지 않은것-페나리몰 유제를 적기에 살포한다.
27.수목병해의 표징 중 번식기관에 의한 표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균사체
28.병원체가 병든 식물의 병환부 또는 병변부에 나타나서 병원체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표징이라 한다.
29.다음중 수공 감염으로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식물의 병은-벼 흰잎마름병
30.잣나무 털녹병균의 중간기주-송이풀
31.일반적인 세균의 침입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각피
32.식물병원 세균의 핵산과 인지질 합성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은-p
33.병원체에 대하여 완전면역성을 가지고 있는것은-비기주저항성
34.저장 곡물에 Aflatoxin이라는 독소를 생성하는 균으로 옳은것-Aspergillus flavus
35.접목에 의한 작물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병은-박과작물 덩굴쪼김병
36.다음중 순활물기생균에 의한 병으로 옳은것-사과나무 흰가루병
37.균의 종류에 따른 세포벽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것은-감자 역병균은 키틴이 없고 소량의 섬유소를 가지고 있다.
38.다음중 전형적인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 식물병은-과수류 근두암종병
39.느티나무 흰별무니병(백성병)의 외부병징과 표징에 대한 설명-부정형의 병반으로 확대되고 중앙 부분은 회백색이 되며 병자각이 형성된다.
40.봄에 배롱나무 흰가루병의 전염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낙엽에서 자낭포자가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41.병원체의 감염,침입등의 자극에 의하여 식물체가 파이토알렉신,pr protein등을 만들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은-유도저항성
42.주변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배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병은-붉은별무늬병
43.기주에서 기생생활을 원칙으로 하나 조건에 따라 죽은 기주에서 부생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것은-임의 부생체
44.매개충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벼 오갈병
45.사과나무 부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진균
46.비기생성 성질의 병은-토마토 배꼽썩음병
47.다음중 법적 방제법에 해당하는것-식물검역
48.균류유사체에 속하는 병원균에 의해 산성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배추 무사마귀병
49.감염되면 식물체의 모든 부위에 병징이 나타나는 병은-담배모자이크병
50. 다음중 병원체가 기주 식물이 없어도 오랫동안 전염원으로서 생존이 가능하며 기주식물을 연작할 경우 그 피해가 중대해 방제하기가 가장 어려운 병해-토양 전염성 병해
51.병원체가 기주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병원성
52.벚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진균
53.병 진단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바이로이드병의 진단엦는 지표식물은 이용되지 못한다.
54.다음 중 병원체가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의 T-dna 부분이 식물 세포로 이행하여 뿌리 혹병을 일으키는 것- Agrobacterium tumegaciens
55.다음중 물에의해 전파되는 병으로 가장 옳은 것은-벼 흰잎마름병
56.다음중 비 전염성인 병은-영양결핍에 의한 병
57.식물에 병원균이 침해되어도 전혀 병 발생이 없는 것-면역성
58.바이러스병의 진단법으로 가장 먼것-지방산 분석
59.감자 잎말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바이러스
60.발병에 영향을 주는 세가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 -시간
61. 병우너균이 기생체 침입 시 균사가 밀집해서 감염욕을 만들어 침입 하는 것-뽕나무 자주 날개무늬병
62.배추등 채소에 무름병을 일으키는 병원큔으로 감염 초기에 수침상을 보이다가 후기에 담갈색으로 변하여 식물체 조직이 물러지게 하는 병원균-Erwinia carotovora
63.다음 중 발병되더라도 표징이 가장 잘 나타나지 않는 것-보리 줄무늬 모자이크병
64.수박 덩굴쪼김병균이 월동하는 곳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토양
65.1차 전염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균류에만 해당될 뿐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해당되지 않는다.
66.과수에 발생한 흰가루병균이 형성하는 포자의 종류-자낭포자
67.약독계통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강독계통 바이러스의ㅣ 감염을 저지하는 현상-교차보호
68.소나무 혹병균의 중간기주로 가장 옳은것-참나무
69.감염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가장 해로운 병-보리 붉은 곰팡이병
70.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n글루티노사에 접종하였을때 접종한 잎에서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병징-국부 괴사반점 형성
71.고추 역병의 병원체로 가장 옳은것-곰팡이
72.기주가 어떤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병이 전혀발생하지 않는 성질-면역성
73.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전염경로-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하여 병원체 전염
74.세균에의해 나타나는 병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모자이크병
75.벼 키다리병과 가장 관련있는 것 -지베렐린
76.녹병균의 여름포자,녹포자의 주된 침입경로-기공
77.다음중 병원균의 병원성 변이와 가장 관련이 없는것-항생
78.사과나무 겹무늬 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곰팡이
79.병원균이 이종기생균에 속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것-잣나무 털녹병
80.병원체 크기가 가장 작은것-바이로이드
출처: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식물보호기사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보호 산업기사-농림해충학(2) (2) | 2022.09.11 |
---|---|
식물보호산업기사-농림해충학(1) (0) | 2022.09.07 |
식물보호 산업기사-식물병리학 (2) (0) | 2022.08.22 |
식물보호 산업기사- 식물병리학 정리(1) (0) | 2022.08.18 |
식물보호기사/산업기사 모든정보 깔끔 정리 (0) | 2022.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