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물보호3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3) 1.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않는 잡초는- 물달개비 2.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잡초의 종자생산량 3.잡초의 종합방제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생태적,물리적,화학적 방제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는 것 4.10a당 500ml 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약량 125mL 물량 25L 5.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것은-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 6.다음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생이가래 7.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8.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 2022. 9. 15.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1) 1.페녹시계 재초제인 2,4-D의 작용기작은? 호르몬작용의 교란 2.복합저항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은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3.농약관리법상 어독성 1급으로 규정되는 농약의 반수치사농도 범위 기준은?-0.5미만 4.Sulfoxide,n-propylisome과 같이 농약에 첨가하여 효력이 좋아지게 하는 물질을 통칭하는 것은-협력제 5.다음중 낙엽 촉진제는-아브사이신2 6.항생제인 가스가마이신 액제의 주된 살균기작-단백질합성저해 7.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이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합리적 혼용 8.저장하고 있는 곡물이나 종자 등에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는데 주로 쓰이는 제형은-훈증제 9.예방이나.. 2022. 9. 14. 식물보호산업기사-농림해충학(3) 1.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심장 2.가루깍지벌레의 연 발생횟수-1년에 3회 발생 3.곤충의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것-공중에 사는 종류 4.고구마나 당근 등에 주로 발생하는 뿌리 혹선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토양의 pH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한다. 5.뒷날개가 평균기 (Halter)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곤충-쉬파리 6.곤충의 생활사에서 용화란 무엇인가-유충이 번데기가 되는것 7.다음 중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여 방제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밤나무 혹벌 8.다음 해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것-끝동매미충 9.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볏집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10.다음 중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해충은-밤나무 .. 2022. 9.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