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는 않는 잡초는- 물달개비
2.작물의 수량 감소 정도는 작물과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에 관여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잡초의 종자생산량
3.잡초의 종합방제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생태적,물리적,화학적 방제등의 여러 방제수단을 이용하는 것
4.10a당 500ml 를 물 100L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약제를 250m2에 살포하려고 할 때 약량과 물량은-약량 125mL 물량 25L
5.다음 중 광엽잡초로만 나열된것은- 물옥잠 사마귀풀 쇠비름
6.다음중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생이가래
7.잡초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잡초와 작물이 경합하지만 작물의 피해는 없는 한계기간이다.
8.잡초방제법 중에서 생태적 방법에 해당하는것은-윤작 실시
9.주로 종자번식을 하는 일년생 잡초는-쇠비름
10.다음 중 논잡초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초제를 일년생 잡초 발생 전 토양에 처리하는 것은-뷰타클로르 입제
11.논에서 뚝새풀이 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이유로 적합한것은-발생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12.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를 이용한 잡초방제 법은 -생물적 방제
13.다음 중 다년생 잡초로만 나열된것-올챙이고랭이 올방개 매자기
14.논 잡초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한 제초제가 약해를 발생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일일 온도 변화가 작은 경우
15.비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퀴노클라민 입제
16.다음 중 발생심도가 가장 깊은 잡초는-올방개
17.페녹시계 호르몬형 제초제로 이행성이 있는것은-이사-디 액제
18.다음 중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영양번식만 가능함
19.식물의 학명 표기에서 잘못된 약어-개체:cv
20.주로 논이나 습지에 발생하고 화본과에 속하고 다년생 잡초는-나도겨풀
21.다음 중 출아가 가장 늦으며, 출아 기간이 가장 긴 다년생 잡초로 가장 옳은것-올방개
22.다음 중 논에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물달개비
23.다음 중 식물의 분류체계로 가장 적절한것은-문강목과속종
24.다음중 제초제와 토양과의 관계에서 흡착력에 가장 크게 관여하지 않는 요인-토양의 수소이온 농도
25.식물표면에서 제초제의 흡수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셀룰로오스층은 촘촘하여 비극성 및 극성제초제 모두 투과가 어렵다.
26.작물과 잡초간 경합의 주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산소
27.제초제 종류와 주요 작용 기작이 가장 옳은 것은-Glyphosate-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
28.다음 중 2년생 월년생 잡초만으로 나열된 것-망초 냉이
29.광발아 잡초들로만 나열된 것은-바랭이 쇠비름 개비름
30.제초제가 활성화되는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MCPB B-oxidation
31.토양처리제로 식물체내에서 이행되며 세포분열 및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면 고사시키는 계통으로만 나열된것은- 카르바메이트계와 디니트로아닐린계
32.잡초의 생장형에 따른 잡초의 분류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것은-직립형-가막사리-사마귀풀
33.영양번식을 좌우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무기성분 함량이 충분한 조건하에서 다년생 잡초의 경우 영양번식 속도가 억제된다.
34.다음 중 외래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단풍잎돼지풀
35.다음 중 다년생 잡포의 전파기관에서 가장 지하에 묻혀있지 않는 것은-포복경
36.다음 중 벼 재배법에서 잡초화의 경합면에 가장 불리한 재배법은-직파재배
37.광합성을 억제하는 계통의 제초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Acetamide계
38.다음 중 초생재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과수원이나 나지 상태의 포장에 피복작물을 재배한다.
39.논 잡초방제에 사용되는 카바메이트계 제초제로만 나열된 것은- 티오벤카브,몰리네이트
40.제초제의 효과적이며 안전사용을 위하여 유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알맞은 제초제를 선택하여 적기에 적량을 살포해야한다.
41.사초과 잡초가 아닌것-뚝새풀
42.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생물적방제 방법
43.잡초 발생으로 예상되는 피해가 아닌 것은-토양침식 조정
44.잡초에 의한 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작물이 결실하는 종실의 수와 양에도 피해가 발생한다.
45.질소나 인산을 비롯한 카드뮴, 니켈 및 페놀계의 독물질을 다량 흡수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능력이 가장 우수한 잡초는- 주레옥잠
46.제초제 종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4-D 는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이다.
47.혼합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제초제 간의 작용성이 길항적 효과가 있어야 한다.
48.잡초와의 광경합에서 가장 유리한 벼 품종은-초관 형성이 빠른 장간종
49.주로 논에서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 것은-생이가래
50.제초제를 연용해도 저항성 잡초의 발현사례가 적은 이유로 옳지 않은것-잡초의 생식 및 번식빈도가 1년에 수회 반복된다.
51.제초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사용하고 남은 제초제는 다른 용기에 옮겨 담아 서늘한 장소에 보관한다.
52.군락내 잡초의 총 건물중이 200g 강피의 건물중이 150g 이면 강피의 중요값은 75%
53.바람에 의한 잡초 종자의 이동 거리가 가장 먼 것은-민들레
54.입체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이나 바람에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55.잡초 종이 가장 많은 것은-화본과
56.다른 잡초 방제 방법과 비교한 화학적 방제 방법의 단점으로 옳은 것은-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낮다.
57.잡초의 생리적인 특징으로 옳지 않은것은-종자의 휴면성이 크지 않아 지속적으로 생육한다.
58.벼의 경우 밭보다 논에서 잡초가 적게 발생하는 주요 이유는-물을 가두기 때문이다.
59.잡초방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다비재배
60.다음 중 작물의 전 생육기간에 비하여 잡초경합 한계기간이 가장 긴 것은-양파
61.잡초의 생물적 방제 방법에 이용되는 생물의 구비 조건이 아닌것은-번식 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한다.
62.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이다.
63.일년생 잡초가 아닌것은-메꽃 쑥
64.화본과 잡초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직립형만 존재한다.
65.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종자만으로 번식
66.지하경이 가장 깊이 형성되는 것은-가래
67.잡초의 밀도가 증가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하는데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쇠되는 수준까지 밀도는-잡초허용 한계밀도
68.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초제의 제형으로 입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액제보다 부피가 작다.
69.작물과 잡초의 경합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산소
70.종자에 낚시 모양의 돌기 또는 비들모양의 가시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쉽게 부착되어 전파되는 잡초는 도꼬마리
71.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토양속 묻힌 깊이가 너무 낮다.
72.방동사니과에 속하는 잡초-바람하늘지기
73.작물과 잡초가 경합하고 있을 때 작물 수량 손실이 가장 높은 경우는-C3 작물과 C4 잡초
74.벼 재배 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 및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법은-중묘 기계이앙
75.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자외선
76.잡초의 경종적 방제 방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소각
77.주로 밭에서 발생하는 건생 잡초만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바랭이 쇠비름
78.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는-망초
79.벼를 이앙한 25일 경에 논에 나가 보았더니 주로 방동사니과 잡초가 많이 발생하였을때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벤타존 액제
80.작물의 생육기간 중 잡초 방제를 철저히 해주어야 하는 경합한계 기간-초관형성기-성숙기
출처: https://www.comcbt.com/
'식물보호기사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2) (0) | 2022.09.15 |
---|---|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1) (2) | 2022.09.14 |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3) (0) | 2022.09.14 |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2) (0) | 2022.09.14 |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1)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