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기사 개념

식물보호산업기사-농림해충학(3)

by 농촌지킴이 2022. 9. 11.
반응형

1.중배엽으로부터 유래된 기관은-심장
2.가루깍지벌레의 연 발생횟수-1년에 3회 발생
3.곤충의 서식지에 따른 곤충 분류가 아닌것-공중에 사는 종류
4.고구마나 당근 등에 주로 발생하는 뿌리 혹선충의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토양의 pH가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한다.
5.뒷날개가 평균기 (Halter)로 변형되어 비행 중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곤충-쉬파리
6.곤충의 생활사에서 용화란 무엇인가-유충이 번데기가 되는것
7.다음 중 내충성 품종을 이용하여 방제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해충은-밤나무 혹벌
8.다음 해충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것-끝동매미충
9.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볏집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10.다음 중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해충은-밤나무 혹발
11.벼멸구의 분류학적 위치는 다음중 어디에 속하는가-노린재목
12.위용-곤충이 탈피하면서 번데기가 될때 종령 유충의 외피를 벗어버리지 않고 뒤집어 쓴 채로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애벌레 껍질을 마치 고치처럼 이용하는 형태-위용에 해당하는 번데기를 형성하는 것은-파리류
13.다음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것은-딱정벌레목
14.목화진딧물에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무시충은 없고 유시충만 있다.
15.외국에서 유입되어 국내에 정착한 침입해충이 아닌것은-복숭아심식나방
16.해충을 유이등에 모이게 하여 방제하는 방법은 해충의 어떤 습성을 이용한것인가.-주광성
17.다음 중 식엽성 해충이 아닌것은-복숭아명 나방
18.알,유충 번데기등의 시기를 땅 속에서 지내다가 성충 시기에만 땅 위에서 활동하는 굼벵이형에 해당하는 곤충이 아닌것-집게벌레
19.다음 곤충중 날개가 두쌍인것-무잎벌
20.유충이 가해한 부위는 적갈색의 굵은 배설물과 함께 수액이 흘러나와 겉으로 쉽게 눈에 띄며 성충은 나무 껍질에 한개씩 알을 낳는 해충-복숭아 유리나방
21.흡츱성 해충으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벼멸구,점박이 응애
22.곤충의 체벽을 이루는 조직으로 탈피시 대부분이 체내로 흡수되어 재활용되는것은-내원표피
23.해충이 가해하는 기주의 연결이 옳지 않은것-파방나방-벼
24.이화명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앞날개의 외연에는 검은점이 없다.
25.지구상에서 곤충이 번성하게 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낮은 유전적 상이성
26.늦가을에 암수가 교미하여 월동난을 나호 봄철에는 간모가 단위생식으로 증식을 한다. 일부 종은 겨울기주로 활엽수를 여름기주로 초본류를 이용하여 기생한다-복숭아혹진딧물
27.벼물바구미의 분류학적 위치는-딱정벌레목
28.곤충의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천적
29.식물체의 뿌리,줄기 또는 잎을 통하여 약제가 식물체 내에 들어가고,해충이 약제가 흡수된 식물을 섭식하는 경우에 해충 체내로 약제 성분이 들어가 죽게하는 살충제-침투성 살충제
30.가로수에 밴딩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주요 대상은-미국 흰 불 나방
31.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것-딱정벌레목
32.성충과 유충이 모두 기주를 직접 가해하는것-큰검정풍뎅이
33.곤충의 생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정자는 암컷의 체내에서 오래 살아 있을 수 없다.
34.유약호르몬이나 탈피호르몬 등을 이용하는 농약계통은-곤충 성장 저해제
35.우리나라에서 월동하기 힘들고 동남아시아 및 중국으로부터 비래하여 발생하는 해충-벼멸구
36.곤충의 가슴에 구성된 체절 수-3
37.밤나무 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하나의 벌레혹에는 한마리의 유충이 있다.
38.솔껍질 깍지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해 수종이 다양하여 대부분의 침엽수를 가해한다.
39. 곤충이 소화계통 중에서 분해된 음식물의 영양분을 흡수하는 곳은- 중장
40.진딧물 및 매미의 입틀 모양은-찔러 빨아먹기에 적합하다.
41.파밤나방-채소 화훼류,전작물등을 가해하는 잡식성 해충이다.
42.기주의 범위가 가장 좁은 협식성 해충은-밤나무 혹벌
43.주로 가해하는 대상이 과수가 아닌 해충은-도둑나방
44.땅강아지의 분류학적 위치는-메뚜기목
45.2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많이 발생하는 해충은-애멸구
46.입 이후의 소화기관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인두-모이주머니-위맹낭-위-직장
47.곤충의 외부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더듬이의 모양은 곤충 종별로 크게 다르지 않다.
48.모기류 수컷의 더듬이에 존재하는 존스턴기관의 주요기능-암컷의 날개 소리를 듣는다.
49.곤충의 체벽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유조직
50.곤충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것-호흡기관과 허파는 배 아래쪽에 있다.
51.벼물바구미-성충은 5월 중순에서 6월에 걸쳐 벼 잎에 직선 모양의 흰색 식흔을 남긴다.
52.기주를 이동하며 생활하는 해충은-복숭아 혹 진딧물
53.유충 성장과정에서 2형층으로 옳은 것은-1회 탈피 후 2회 탈피 전까지의 유충이다.
54.소나무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성충이 나무줄기에 구멍을 뚫어 알을 낳는다.
55.벼 재배시 후기 해충 방제에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 해충은 - 벼멸구
56.고자리 파리의 기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배추
57.곤충의 생식 방법으로 옳지 않은것-완전생식
58.식물의 선천적 내충성을 3가지로 분류할 때 포함되지 않는 것은-적응성
59.해충과 천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점박이응애-호리꽃등에
60.분류학상 곤충강에 속하지 않는 것은-점박이응애
61.다음 중 1세대를 경과하는데 가장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곤충으로 옳은 것-말매미
62.다음 중 곤충의 통신수단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맛에 의한 통신
63.다음 중 누에의 식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단식성
64.다음 중 유충의 발육과 성충의 생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유약호르몬을 분비하는 곤충의 기관-알라타체
65.곤충에서 파악기가 하는일-교미시에 사용한다.
66.다음 중 점박이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암컷의 길이가 수컷에 비해 짧다.
67.다음 중 사과나무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진딧물은-조팝나무 진딧물
68.다음 중 곤충 체벽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혈구세포 분화
69.다음 중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으로 가장 옳은 것-솔수염 하늘소
70.다음 중 담배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1년에1회 발생한다.
71.곤충의 번성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행동이 민첩하고 농약에 강하여 생존율이 높다.
72.다음중 잠자리 유충의 호흡방식으로 가장 옳은 것-기관 아가미를 통한 수중 호흡방식이다.
73.다음 중 멸구등 비래해충을 대상으로 하는 해충발생밀도 조사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공중포충망조사법
74.다음 중 완전변태류 곤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것-흰개미
75.다음 중 곤충이 가장 잘 반응하는 색에 속하는것-녹색
76.다음 중 논의 벼멸구를 방제할 때 살추에를 물에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는 재형으로 가장 옳은 것은-입제
77.다음 중 코일 모양의 입을 가진 해충으로 가장 옳은 것은-배추흰나비
78.곤충 수컷의 생식기관에서 볼 수 없는 것은-난황소
79.해충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으로 해충의 생장이나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은 - 항생성
80.다음 중 말피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진딧물에서 볼 수 있다.



출처: https://www.comcb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