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배학

교질(colloid)

by 농촌지킴이 2023. 8. 13.
반응형

교질이란?

점토나 부식은 입자가 잘고 입경이 1마이크로 미터 이하이다.

0.1 마이크로 미터이하의 입자를 교질입자라고 한다.

교질입자는 보통 음전하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을 흡착하고 토양중에 교질입자가 많으면 치환성 양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강해진다. 

 

토양의 구조-단립구조 입단구조 이상구조

단립구조-토양입자들이 서로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모여있다.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적다 투기성 투수성은 좋으나 보수력 보비력이 떨어진다.- 사구지 

이상구조-소공극은 많고 대공극이 적어 통기성이 불량 과습한 식질토양에서 볼수 있는 토양구조

입단구조- 소공극과 대공극이 모여 균형있게 발달되어 투기성 투수성 보비력이 좋다.

입단구조의 형성 방법-1.유기물 석회 시용 2.콩과작물 재배 3.토양피복 4.피복작물 재배 5.토양 개량제 시용

입단 파괴 요인-1.잦은 경운 2.나트륨 과다 토양 3.습윤과 건조 4.심한 비바람.5.동결과 융해, 고온, 저온등 팽창 수축

 

반응형

'재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양 통기성을 증가하는 방법  (0) 2023.08.13
토양유기물의 기능  (0) 2023.08.13
토성의 의미/정의  (0) 2023.08.13
양이온 치환 용량 (CEC: cation exchange capacity)=염기치환용량(BEC)  (0) 2023.08.11
작물  (0)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