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 산업기사-식물병리학 (2)
1.감자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병원균은 기공 또는 각피 침입한다.
2.답전윤환을 할 경우 담수조건에서 병원균이 파괴되어 병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은?-균핵병
3.녹병균에 의해 발생되는 병은?-소나무 혹병
4.(병든식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 진단에 가장용이한것) 발병 초기에는 병원균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든 조직을 20도 정도에서 습실에 2~3일간 보존하여 병원균을 증식시킨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균류에의한병
5.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병의 주요 매개 수단은?-곤충
6.복숭아 나무 잎오갈병의 방제를 위한 디티아온 수화제 살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발아 직전 및 꽃이 피기 직전 경엽처리
7.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물병의 주요 증상으로만 나열된 것은-시들음,가지마름
8.바이러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 콩모자이크병
9.무생물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병-토마토 배꼽썩음병
10. 담배 모자이크병 바이러스의 형태는-막대병
11. 파이토 플라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종자전염을한다.
12.Millardet에 의해 개발된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호살균제이다.
13.식물병은 주인,소인,유인으로 구성된 병삼각형으로 상호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유인에 해당하는것은-병 발생에 알맞은 환경.
14.병원체와 주요 전반 수단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물-밀 줄기 녹병
15.균사에 격벽이 없다./유주자낭을 형성한다./난포자를 형성한다./토마토에도 병을 일으킨다./->감자 역병균
16.수목병의 표징이 아닌것은?-오동나무에 작은 가지가 다수 발생하여 총생
17.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 내에서 수화제를 살포할 경우 습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훈연제
18.소나무류에 발생하는 잎녹병의 중간기주가 아닌 것은-신갈나무
19.식물병의 경종적 방제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재식밀도 조절
20.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균류
21.유사균류에 의한 병이 아닌 것은-벼 오갈병(매개충)
22.벼 잎에 나타난 방추형 갈색병반으로 육안적 진단이 가능한병은?-도열병
23.배추 등에서 무사마귀병(뿌리혹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무엇인가-Plasmodiophora brassicae
24.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점을 이용한 농약은-항생제
25.식물병원균 감염 후 나타나는 저항성에 관한 것이 아닌 것은- 기공수의 증가
26.콩 자주빛무늬병(자주무늬병) 균의 월동처는?-종자
27.질소비료를 적게 주어 도열병을 방제하는 방법은-경종적 방제
28.밀 줄기녹병의 원인은-진균
29.식물 바이러스병 진단병으로 옳지 않은것-파지에 의한 진단법
30.병원균이 주로 종자 전염하는 병은-보리 겉깜부기병
31.식물병원균의 레이스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정한 품종을 뭐라하는가- 판별 품종
32.경란 전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매개곤충의 알을 거쳐 다음 세대로 병원이 전해진다.
33.균사가 변형하여 유사조직을 형성하고, 구형 또는 입상 이며 불량환경에 저항성이 강한것은-균핵
34.다음중 항생물질이 아닌것은-Phthalide
35.다음 중 진균(곰팡이)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은- 보리 속깜부기병
36.다음 중 배추 무름병균의 특성은-주모가 있는 그램음성세균이다.
37.빈번한 강우조건 아래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운 맥류의 병은-붉은곰팡이병
38.다음중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선충이 아닌것은-meloidogyne
39.주로 저온에서 발생이 많은 병은- 맥류 줄기녹병
40.다음 중 산성비에 가장 강한 수종은-곰솔
41.벚나무 빗자루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적당한것은-병든 가지는 아래쪽의 부풀은 부분을 포함하여 겨울철에 잘라낸다.
42.TMV에 의해 발병하며 주로 토양에 의하여 전염되는 병은-고추모자이크병
43.Pseudomonas 세균의 특성-그램음성의 간균으로 대부분 호기성균이다.
44.식물병 방제를 위하여 Millardet가 개발한 것으로 당시 유행한 포도 노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구리가 가진 독성을 이용한 것으로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보르도액
45.벼 이삭누룩병균은 분류학상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자낭균
46.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것-칼륨 비료 시비량을 줄여 방제할 수 있다.
47.오이 덩굴 쪼김병의 설명으로 옳은것-연작하는 포장에서 피해가 큰 병
48.고구마 무름병의 특징적인 표징은-포자낭
49.호박에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어느 부위에 약제처리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잎
50.병원균의 한 종이나 한 분화형 또는 변종 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대한 기생성을 의미하는 용어-레이스
51.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
52.식물 중에 특정 병원체 침입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특징적인 병징을 이용한 것으로 주로 바이러스의 진단에 널리쓰이며 세균이나 일부 균류에 의한 병의 진단에도 활용하는 방법은-지표식물에 의한 병의 진단.
53.병원균에 대한 기주 저항성 중 품종고유의 소수 주동유전자에 의해 발현되기 때문에 재배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으나 레이스의 변이에 의하여 감수성으로 되기 쉬운 것은-수직 저항성
54.일반적으로 많은 식물병이 어던 해에는 발생하나 다른해 또는 근처 지역에서는 같은 종류의 식물에 병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식물이 해당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것이 아니며 이러한 현상을-병회피라고 한다.
55.다음중 윤작을 이용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것-무사마귀병
56.벼 도열병의 전형적인 병징-실꾸리 모양
57.균사에는 각박이 없고, 세포벽에 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있으며, 유주자에 의해 무성번식을 한다.
58.논에서 벼 도열병균 분생포자의 주된 전염방법은-바람
59.Nepovirus를 매개하여 식물병을 감염시키는 것은-선충
60.감자 Y바이러스의 특징이 아닌것-최근에는 조직배양에 의한 씨감자 생산보급이 확대되어 발병이 많이 감소하였다.
61.배추 무름병균의 특성-주모가 있는 그램음성세균
62.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설명-토마토 시들음병균과 동일한 진균류에 의한 병
63.Millardet에 의해 개발된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보호 살균제이다.
64.수목병의 표징이 아닌것은-오동나무에 다수 발생한 작은가지
65.담자균에 속하는 식물병-배나무 붉은 별무늬병
66.병원균의 중간기주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는 병-밀 줄기녹병
67.벼 도열병균이 주로 월동하는 곳은-볍씨의 병든 부분
68.배추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알칼리성 토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69.저항성이었던 품종이 같은 병원균에 의하여 이병화되는 주요원인-병원균의 새로운 변이주 출현
70.매개충으로 인하여 전염되는 병-벼 오갈병
71.대추나무 재배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병해이며 항생제의 수간주입에 의하여 방제가 가능한 것은-빗자루병
72.주로 포자로 번식하며 식물병을 일으키는 것은-곰팡이
73.소나무 잎떨림병 방제를 위한 약제 살포시기로 가장 적합한것은-6월~8월
74.감자 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병원균은 기공 또는 각피 침입한다.
75.벼 키다리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종자 소독
76.세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식물병의 주요 증상으로만 나열된 것은-시들음 가지마름
77.식물병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처리할 때 병원 진단에 가장 용이한것- 발병 초기에는 병원균을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든 조직을 20도 정도의 습실에서 2~3일간 보존하여 병원균을 증식시킨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균류에 의한 병
78.병원균이 땅속에서 월동하고 토양에서 병이 전반되는것은?-콩 모잘록병
79.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세균 속이 아닌것은-Helicobacter
80.담배 들불병을 유발하는 병원체-세균
81.병원체가 기주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능력-병원성
82.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세균
83.고추 탄저병이 발생하여 피해가 가장 큰 환경-고온 다습
84.강풍 후에 발생이 가장 많은 식물병은-벼 흰잎마름병
85.오이 모자이크병을 매개하는 곤충-진딧물
86.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스트렙토마이신으로 나무주사를 실시한다.
87.균사에 격벽이 없다. 유주자낭을 형성,난포자 형성,토마토에도 병일으킴-감자역병균
88.식물병의 생태학적 방제 방법에 해당하는 것- 재식밀도 조절
89.고구마 검은 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은-씨고구마를 큐어링 처리한 후에 저장한다.
90.보리 겉깜부기병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것-종자소독
91.출수 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감염을 하는 식물병은-보리 겉깜부기병
92.식물병을 일으키는 세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균사가 있다.
93.식물병의 생물학적 진단방법으로 옳지 않은것-ELISA법
94.박테리오 파지의 의미-세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95.파이토 플라스마에 의한 식물병의 전형적인 병징으로 거리가 먼것-비대
96.바이로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식물병-감자 걀쭉병
97.감자 Y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감자품종에 따라 병징이 다르지 않고 모두 유사하다.
98.식물병원균의 생태형(race)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것은-병원균의 병원성 차이.
99.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균류
100.사과나무 축과병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붕소결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