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개념

식물보호산업기사-잡초방제학(1)

농촌지킴이 2022. 9. 14. 23:52
반응형

1.2년생 광엽잡초에서 줄기 및 윗부분에서 1차 예취를 하고 재생후 아주 낮게 2차 예취를 해주면 효과적인 제초가 가능하다. 이것은 식물의 어던 특성을 이용한 것인가-정아우세 현상
2.다음 중 논잡초로만 나열된 것-물옥잠 돌피 여뀌바늘
3.다음 중 월년생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속속이풀
4.다음 중 영양 번식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잡종강세
5.잡초에 대한 벼의 경합력을 높이는 재배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이앙재배
6.식물의 백화증상을 유발시키는 약제가 있다 이런 증상이 유도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옳은것-식물색조 중의 하나인 카로티노리드의 생합성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7.다음 중 종자가 암 발아성인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냉이
8.사람이나 동물에 부착되기 쉬운 낚시 바늘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가 있는 잡초-도깨비 바늘
9.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는 올방개
10.작물과 잡초간 경합의 한계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 잡초의 밀도가 어느 한계를 넘었을 때 작물의 수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밀도.
11.다음 중 부유성 수생잡초만 나열된 것은-부레옥잠 좀개구리밥
12.다음중 잡초의 학명이 틀린 것은-강피:Monochoria vaginalis p
13.벼와 피의 형태에 대한 설명- 벼에는 입귀와 입혀가 있으나 피에는 없다.
14.다음 중 호르몬형 제초제로만 나열된 것은-2,4-D,dicamba
15.잡초의 여러 기관에서 작물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특정물질을 분비하여 피해를 주는 작용-Allelopathy
16.다음 중 외래 잡초로만 나열된 것-미국개기장, 단풍잎돼지풀,서양민들레
17.다음중 택사과 잡초로 가장 옳은 것-벗풀
18.방동사니과 잡초의 형태적 특징-줄기가 삼각형이다.
19.설포우레아계 제초제의 작용 기구로 가장 옳은 것은- 아미노산 생합성의 저해
20.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사용한 제초제-2,4-D 액제
21.밭잡초의 발생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수도작보다 밭작물에서 잡초의 피해가 적다.
22.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작용기작이 다른 제초제를 번갈아 사용한다.
23.농경지에서 잡초를 방제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손실과 관계가 없는 것은 토질개선
24.영양 번식의 환경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무기성분 함량이 충분한 조건하에서 다년생 잡초의 경우 영양번식 속도가 억제된다.
25.다음중 종피에 기인한 휴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배의 미숙
26.다음 중 화본과 잡초에는 있으나 광엽잡초에는 없는 주요 기관은 엽초
27.다음중 선택성 제초제는- 2,4-D
28.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생물적 방제법
29.다음 중 영양번식기관과 해당 잡초가 옳지 않게 연결된 것은-포복경-올미 벗풀
30.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하는 주요 다년생 광엽잡초는 올미 벗풀
31.발생지에 따른 분류와 해당 잡초종이 잘못 연결된 것은-잔디밭 잡초-쇠털골,가래
32.논에 발생하는 피류의 속명-Echinochloa
33.종자에 낙하산과 같은 깃털을 가지거나 솜털과 같은 것으로 덮여서 바람에 잘 날리는 잡초는-민들레
34.다음 잡초 중 기주식물에서 기생하는 잡초는 새삼
35.밭잡초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야 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밭잡초는 종류가 다양하나 발생이 균일하여 발생 예측이 가능하다.
36.제초제의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비극성 제초제는 극성 제초제보다 잡초의 뿌리 흡수가 용이하다.
37.다음 중 다년생 논잡초이며 지하 번식체를 0~5cm의 표토에 주로 생성하는 것은-올미
38.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화본과 잡초,광엽잡초,사초과 잡초
39.잡초종자의 발아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 가장 관계가 적은것은-토성
40.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잡초종자 바랑 최적 온도 범위 15~30도
41.우리나라 논 잡초 방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제초제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형은-입제
42.벼 이앙재배에서 주로 우점하는 잡초들로만 나열한것은-피 물달개비 올방개 올미
43.경엽처리용 제초제로 벼와 피 사이에서 속간 선택성을 일으키는 propanil
44.혼합제초제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길항적 효과가 있다.
45.문제 잡초들의 특성이 아닌것-휴면성이 낮아 불리한 조건 아래에서도 발아율이 높다.
46.잡초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가장 심한 경우는 -c3작물 재배지에 발생한 c4잡초
47.10a당 3kg을 살포하는 제초제를 100m2에 처리하고자 할 때 필요한량-300g
48.다음 잡초 중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벗풀
49.종자 휴면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발아촉진 물질이 많이 들어있다.
50.제초제 중 작물에 나타나는 약해증상으로 틀린 것은-Dicamba:괴사,반점
51.잡초종자의 수명을 좌우하는 요인중 저장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휴면성
52.잡초와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잡초경합한계기간 내에서는 잡초를 방제할 필요가 없다.
53.벼 재배방법 중 잡초의 피해가 가장 큰 재배방법은-건답직파 재배
54.잔디밭에 주로 많이 발생되는 잡초는- 토끼풀 꽃다지
55.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잡초종자의 발아 최적 온도 범위는-15~30도
56.산성토양에서 잘 적응하는 잡초가 아닌것-냉이
57.제초효과가 우수하고 일정한 지역에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 노력과 비용이 적게 드는 잡초 방제법-화학적 방제법
58.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볼 수 없는것-광도
59.잡초를 생활형에 따라 바르게 분류한 것은-다년생 잡초 올방개 올미
60.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하는 화본과 잡초가 아닌 것은 -물달개비
61.생태적 잡초 방제법에 해당하는것-윤작
62.잡초 종자의 발아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토양종류
63.주어진 지표면을 먼저 점유한 식물이 후에 발생한 식물보다 경합에 유리하다. 이를 이용한 잡초 방제기술로 옳지 않은것은-시비량 증대
64.화본과 잡초와 광역 잡초를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제초제의 선택성 요인에 해당하는것 형태적 선택성
65.화본과보다 광엽 잡초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다른 제초제보다 적은 약량으로 높은 제초활성이 있는 제초제 계통은-sulfonlurea계
66.페녹시계열에 속하는 제초제가 아닌것-니코설퓨론 액상수화제
67.잡초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생물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상 잡초방제가 끝나도 지속적으로 생활을 하여 사멸되지 않아야 한다.
68.예방적 잡초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것-중경 및 정지 작업을 실시한다.
69.잡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낮은 밀도로도 작물에 피해를 줄수 있다.
70.혼합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제초 작용성에서 상호 길항적 효과가 있다.
71.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직파재배를 한다.
72.잡초의 유용성이 아닌것은-병해충 전파를 막아준다.
73.잔디밭의 클로버 방제에 가장 적절한 제초제는-메코프로프 액제
74.잡초 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자발휴면은 종자의 미숙과 같은 원인으로 생긴다.
75.식물 분류학적으로 동일한 속명을 갖는 잡초끼리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울미 벗풀
76.지하경을 형성하지 않는 잡초-알방동사니
77.일년생 광엽잡초에 해당 논잡초로 많이 발생할 경우는 기계수확이 곤란 줄기 기부가 비스듬히 땅을 기며 뿌리가 내리는 잡초-사마귀풀
78.상호대립억제 작용에 대한 설명-타감작용이라고 하기도 한다.
79.토양 염분이 많은 간척지 논에서 주로 발생하는 방동사니과 잡초는 매자기
80.주로 밭에 발생하는 1년생 화본과 잡초는 바랭이
81.제초제를 흡수한 잡초 체내에서 일어나는 대사 과정으로 옳지 않는 것은-염소반응
82.경종정 방제법이 아닌것-중경제초기를 이용한다.
83.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것-바랭이
84.종합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 생물적 물리적 화학적 방제법등 여러 방제법을 다양하게 적용하는것이다.
85.생물적 방제법에 적용하는 것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토양
86.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탄산가스의 결핍
87.계면활성제의 유화성과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 제형-유제
88.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것-올방개
89.잡초의 분류방법 식물학적 순서- 과속종아종변종
90.잡초의 상호대립억제작용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생물적 방제법
91.잡초의 생장형에 따른 분류로 옳지 않은것-포복형-가막사리
92.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있어서 잡초 허용한계밀도의 의미로 옳은것-작물 수량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잡초의 밀도
93.잡초 발생이 물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것-관배수에서 증발량과 지하침투량이 저하된다.
94.잡초 종자의 발아 습성으로 발아의 계절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일장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특성이다.
95.페녹시계 제초제로 이행성이 잇는 것은- 이사-디 액제
96.지하경을 형성하는데 일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잡초-올미
97.논에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초제가 아닌것은-알라클로르 유제
98.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피
99.작물의 수량에 피해가 가장 큰 경우-C4잡초와 C3작물
100.주로 밭에서 생육하는 다년생 잡초가 아닌것-여뀌



출처: https://www.comcb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