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개념

식물보호산업기사-농약학(3)

농촌지킴이 2022. 9. 14. 22:40
반응형

1.제초제의 토양 중에서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제초제의 변화는 환경문제에 큰 영향을 준다.
2.계면활성제에 들어있는 친유기는- CH3(알킬기)
3.농약 살포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제 4종 복합비료와의 혼용은 약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4.농약의 환경 중으로의 확산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온도
5.수 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 한 제조 형태가 아닌것-액제
6.다음 중 살충제 농약으로 분류되는 것은-페노뷰카브(BPMC)
7.과실의 수기를 촉진시켜 주는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에테폰 액제
8.피에이엠은 주로 어느 농약의 중독치료제로 사용되는가-유기인제
9.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 것-천적을 살해한다.
10.접촉독 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클로르피리포스
11.어떤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한 해충이 한번도 사용한 실적은 없지만 작용기구가 같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현상은-교차저항성
12.수화제,수용제 등의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전용노즐로 공기와 교반하여 가는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폼스프레이법
13.농약의 독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독성의 정도에 따라서 급성독성 만성독성으로 구분한다.
14.우리나라에서 농약의 독성을 구분할 때 어디에 기준을 두고 분류하는가-제품
15.20% PAP 유제 100ml 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얼마인가-40L
16.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잔류성이 길다.
17.논에 물에 대면서 물꼬에서 약제를 처리하도록 개발한 제형- 수면전개제
18.농약 살포액 조제시 사용되는 적당한 물-물의 온도가 높지 않은 일반적인 물
19.분제는 물리적 성질이 약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음중 분제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것-습전성
20.침투성 살충제-카보퓨란 입재
21.농약의 잔류독성을 의미하지 않는 것은-농약 포장지 내에 남아 있는 독성
22.훈증제의 사용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수분에 융입되어야한다.
23.농약을 주성분의 조성에 따라 분류한 것은-유기인계
24.Carbamate계 살충제가 아닌것 - zeta-cypermethrin
25.다음 구리제 농약중 구리 함유량이 가장 큰것-copper Hydroxide
26.분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작물에 대한 고착성이 우수하다.
27.해충에 저항성이 유발되기 쉬운 살충제의 살포방법은-동일 그룹의 약제를 연용한다.
28.농약의 독성을 나타내는 LD50이 의미하는 것은-반수치사약량
29.농약제형의 형태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유화제
30.살포한 농약이 식물체나 충체의 표면을 적시는 성질은 무엇인가-습윤성
31.작용기작이 식물호르몬 작용 교란 제초제가 아닌 것은-PCP
32.제충국의 살충유효 성분이 아닌 것은-Rotenone
33.무기 화합물이 주 성분인 농약은-Bordeaux mixture
34.유기인제 농약의 중독 증상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농약-카바메이트제 농약
35.살충제 카보입제 5% 분석 시 제품 1.8763g 을 내부표준용액 25ml에 녹여 이 중 5마이크로를 HPLC에 주입하여 분석했을 때 면적비가 0.9561이었다. 또한 순도가 99.0%인 카보표준폼 0.1005g을 내부표준용액 25ml에 녹여 5마이크로를 주입하여 분석했을 때 면적비가 0.9485이었다면 이 제품의 주성분 함량-5.34%
36.기계유 유제의 살충작용으로 가장 옳은것-피복 질식시켜 살충
37.농약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중 보호 살균제에 해당되지 않는것-Myclobutanil
38.농약을 식별하기 위해 라벨의 바탕 색깔을 달리하는데 노란색 라벨은 어떤 유형의 농약을 의미하는가-제초제
39.침투성 살충제의 일반적인 특성 중 옳지 않은것-천적을 살해한다.
40.농약의 유효성분이 50%인 제재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5말로 살포하려고 할 때 약제 소요량은-90
41.methyl bromi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곤충의 입을 통하여 곤충체내에 침입하는 식독제이다.
42.농약제형의 형태가 직접살포제로 사용되는것-세립제
43.다음 화합물 중 협력제는-piperonyl butoxide
44.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의 의미는 중위치사량
45.농약에 의한 약해 발생원인이 아닌것-정지작업을 균일하게 한 후 농약 살포
46.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호흡저해가 아닌 것은- 단백질 합성 저해
47.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로 주로 제초제나 생장조정제로 이용되고 있는 농약은-페녹시계
48.접촉독,소화중독으로 효과를 나타내는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야생조류에 피해를 줄 수 있고 특히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여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농약은-클로로피리포스
49.액체를 포유동물에 경구 투여한 고독성 농약을 반수치사량으로 나타낸 수치로서 옳은 것은-20~200 미만
50.25% DDT유제 비중 1:0 100mL를 0.05%의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몇 약 L 인가-50
51.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살포한 약액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적시고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
52.수불용성인 농약원제로써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적당한 제조형태가 아닌 것은 -액제
53.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제초제는-MCP
54.유기인계 살충제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사람이나 가축에대한 독성이 없다.
55.살포된 분제가 식물체 표면에 잘 달라붙게 하는 성질-부착성
56.농약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가성소다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상온에서 액체로 취기가 있다.
57.대표적인 약제로는 drin ddt bhc이며 사람이나 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분해되어 배설되지 않고 체내의 지방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는 약제-유기염소제
58.다음 중 식물 생장조정제가 아닌 것은- Agrimtcin
59.펜프로파트린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10a당 140L를 분무하려고 할 대 원액 몇 mL가 필요한가-140ml
60.사과 수박의 탄저병에 적용하는 벤지미다졸계살균제-베노밀
61.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알칼리에는 용이하게 분해된다.
62.농약이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구비조건으로 틀린것은-혼용범위가 적을것
63.다음 중 유기인계 살균제는 에디펜포스
64.살균제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것-토양소독제
65.다음중 훈증제가 아닌것-인화아연
66.농약의 약효발현과 가장 거리가 먼 것-효과가 좋은 농약만을 계속 사용
67.석회황합제의 살균 주성분은-CaS5
68.농약의 급성독성에서 농약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닌것-보통독성
69.페노뷰카브 유제50%를 1000배로 희석해서 10a당 8말을 살포하여 벼멸구를 방제하려 할 때 페노뷰카브 유제의 소요량은 몇 mL인가-160
70.퀴논계 제초제로서 접촉성 효과로 약효가 빠르게 나타나고 잔디밭에 발생하는 은이끼,솔이끼 등에 우수한 제초제는-퀴노클라민
71.과실의 숙기를 촉진시키는데 주로 사용되는 에틸렌계의 약제는-에테폰
72.토양 내에 서식하고 있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농약 사용방법-훈증법
73.유제 농약이 물에 잘 섞이는가를 검사하고자 할 때 가장 중요한 성질은-유화성
74.살균제의 작용기작 중 생합성에 대한 저해작용은-단백질합성저해
75.작물의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닌것-농약농도
76.1.5% 분제 100kg을 증량제 추가 사용 없이 2%분제로 재제조 할 때 필요한 원제는 약 몇 kg인가 0.57kg
77.배추 재배시 달팽이를 없애기 위하여 사용하는 약제는-메트알데하이드 입제
78.치료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병이 발생한 후에도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직접살균제
79.농약관리법에서 규정한 토양잔류성농약의 토양 중 반감기는-180일
80.베노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살균제















출처: https://www.comcbt.com/

반응형